본문 바로가기
famous healthy

퇴행성관절염 무릎 관절염 자가 진단

by 드림파더 2022. 11. 10.
728x90

무릎 관절염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자가 진단법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가 진단법은 여러 개가 있지만 그중에 몇 개가 자신이 증상이 있냐에 따라 다르며

그에 따른 grade(그레이드)를 추측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많이 걸었을 때 평소에는 괜찮았는데 갑자기 2~3일 정도 통증이 지속이 될 경우입니다.

두 번째는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어질 때이며

세 번째는 앉았다 일어났을 때 소리만 나는 건 괜찮지만 시큰하고 통증이 있는 겨우

네 번째는 무릎에 물이차고 붓는 경우

다섯 번째는 갑자기 무릎과 사이에 손가락이나 주먹이 들어가는 오다리 변형이 오는 겨우

여섯 번째는 갑자기 관절운동 범위에 문제가 생길 경우입니다.

위의 6가지들로 쉽게 자가진단을 할 수가 있는데요

이중에 1개 해당될 경우 가벼운 관절염 1기로 생각할 수 있으며

4개 이상일 땐 3~4기 중증의 관절염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관절염의 종류

관절염의 종류는 어떤 게 있을까요

1. 골관절염

2. 류머티즘 관절염

3. 급성으로 생길 수 있는 화농성 관절염

이중에 가장 많이 생기는 관절염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골관절염 그리고 많이 사용하면서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면서 조직이 마모되고 염증 반응으로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합니다.

퇴행성관절염의 증상은 어떻게 다를까요.

일단 염증이니 전형적으로 통증이 생길 것이며 통증이 생기면 조직들이 붓고 아픈 종창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안에 물이 찬다든지 열감이 느껴진다든지 이러한 것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관절을 많이 사용해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노동이나 활동 대부분 활동만 한다고 생기는 건 아니며

불량한 자세 반복적인 동작들로 인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연골이 평생 안 닳았으면 좋겠는데 왜 닳을까요.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무릎 연골을 말씀드리자면 무릎을 기준으로 위에는 대퇴골과 경공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주며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윤활 작용을 해주는 연골이 들어 있어 그 연골은 콜라겐과 여러 가지

섞여서 생성 되게 되는데 인간은 직립 보행을 하므로 연골이 충격을 흡수하다 보면 퇴행성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다 보면 콜라겐 조직의 변화가 생기고 콜라겐이 줄어들고 물이 더 생성이 되며 퇴행성 변화가 진행됩니다.

그러다 보면 연골이 약해지면서 떨어져 낙기도 하고 금도 가기도 하고 그런 변화로 관절염이 생기게 되는 겁니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콜라겐은 도움이 될까

그러면 콜라겐을 먹는다고 콜라겐이 다시 생기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무릎 연골이 닳는 시기는 모두 같을까요??

당연히 사람마다 다릅니다. 쪼그려 앉아서 일을 많이 하시단 더 지 반복적인 무릎을 꿇거나

훨씬 빨리 퇴행성 변화가 올 겁니다. 젊었을 때 교통사고나 외상을 당한다던지 큰 사고를 당하면 2 차성 관절염이라고

퇴행성 변화가 빨리 와서 일상 사람들보다는 더 연골이 닳아 있으며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축구와 농구를 어렸을 때부터 어떨까요?? 스포츠를 한다고 닳지는 않지만 유명한 스포츠 선수들 대부분

연골이 꽤 닳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과도한 스포츠 활동이니 운동들은 무릎에 과격한 변화를 만들고 무릎 주변의 인대나 연골판 손상의 원인을 제공해줄 수

있기에 그러한 것들로 인해 나중에 나이가 오면 퇴행성 관절염이 훨씬 있습니다.

728x90

'famous 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 표지자는 무엇일까요  (0) 2022.11.17
췌장암의 증상은  (0) 2022.11.13
라텍스 알러지에 대해 알아보기  (0) 2022.11.12
생리통을 대하는 자세  (0) 2022.11.11
우리몸의 신장의 기능에 대해서  (1) 2022.11.10

댓글